Note Taking

[오늘의생각] 221002_프리셋에 대한 의심

se_starry 2022. 10. 2. 09:57

01. 프리셋에 대한 의심


읽은 글 : https://medium.com/delightroom/30%EB%B6%84-%EC%9E%91%EC%97%85%EC%9C%BC%EB%A1%9C-30-%EB%A7%A4%EC%B6%9C%EC%9D%84-%EC%98%AC%EB%A6%B0-%ED%94%84%EB%A6%AC%EC%85%8B-%EC%8B%A4%ED%97%98-f455ed881caa

 

30분 작업으로 30% 매출을 올린 프리셋 실험

어두운 등잔 밑에 자리하고 있는 프리셋의 임팩트

medium.com

(서론에서 "출시 이후에는 해당 프리셋에 너무 익숙해진 나머지, 마치 고정된 기획마냥 늘 그곳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라는 문장을 읽고 이 글을 계속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찔렸기 때문이다._

 

첫번째 글을 읽다가 LTV 개념에 대해 더 알고 싶어서 읽은 글 : https://www.openads.co.kr/content/contentDetail?contsId=8248 

 

고객생애가치 완전 정복(1): CLV 개념과 활용현황

고객생애가치 완전 정복(1): CLV 개념과 활용현황

www.openads.co.kr

 

아래는 배운 점 기록

  • LTV : Life Time Vlue (고객생애가치)
    • 서비스에 유입된 고객이 앞으로 얼마나 기업 매출에 기여할 것인지 평가
    • 광고 등의 즉각적인 성과 측정보다는 고객 관리 전략을 장기적 관점에서 수립하기 위해 살펴봐야 하는 지표
  • 지표를 살펴볼 때 1가지 지표만으로 분석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그 지표가 간과할 수 있는 사실을 대표하는 지표를 찾아서 함께 살펴보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어 첫번째 글에서는 연구독/월구독 상품을 비교하면서 LTV와 전환율을 함께 살펴봤다. LTV 기준 연구독이 월구독보다 우수하지만, 전환율을 살펴보면서 사용자가 연구독 결제로의 전환에 부담을 느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독 결제에 진입한 이후에는 월구독보다 높은 LTV를 창출하지만 연구독 결제로의 진입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 
  • 기획 초기에 설정한 프리셋이 현재에도 최적의 값이 맞는지 묻는 첫번째 글의 질문이 인상적이었다. 서비스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어서, 수면 위로 드러난 문제 현상에 대응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기존의 것들이 최적해가 맞는지 먼저 질문하는 것도 방법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