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I디자인
- 클론 디자인
- 네이버예약
- UI
- Clone design
- 피그마
- 애플뮤직
- UI Design
- gmail
- UI공부
- 피그마공부
- 외부입력장치
- 당근마켓
- UX
- 클론디자인
- 오늘의집
- 머터리얼 디자인
- 디자인토큰
- figma
- 지메일
- Design Token
- Material Design
- 커피챗
- applemusic
- UX 공부
- clonedesign
- 머터리얼디자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1)
UX 탐험기
01. '좋은' 지표 선정하기 읽은 글 1 : https://brunch.co.kr/@journeypark/35 서비스 성공 이끄는 Mixed UX리서치: ①스포티파이 사용자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를 위한 지표 | 오늘도 수많은 기획자들이 사용자 서비스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많은 도구와 지표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기업들 역시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수집 brunch.co.kr 읽은 글 2 : https://brunch.co.kr/@ywkim36/25 09화 좋은PM은 '허세 지표/메트릭'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프로젝트를 올바로 이끌기 위해서는 '허세 지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 이 글에서 언급되는 PM은 소프트웨어 서비스기업의 프로덕트매니저(오너)/프로그램매니저/프로젝트매니저를 모두 brunch...
01. 사용자를 고민하게 하지 말자 읽은 글 : http://icunow.co.kr/mobileapps113/ [기획자의 서비스 뜯어보기 113] #굿리치-회원가입 #시그널플래너-알림 #배달의민족-홈화면 #프립- – 1.굿리치가 회원가입 과정 내 기능안내를 제공하는 방법 굿리치는 개인이 가입한 보험을 한눈에 확인하고, 보장이 적절한지 등을 분석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저는 기존 다른 유사 서비스를 사 icunow.co.kr 1. 굿리치 : 사용자의 연령 분포가 넓다는 점을 감안해 메일을 통한 인증번호 입력 과정을 시각 자료를 동원해 자세하게 안내함 (개인 경험) 예전에 사이드 프로젝트 (NFC 태그를 통해 음성 녹음 페이지로 연결되는 스티커) 를 할 때,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태그'라는 단어가 어렵게 받..
최근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다른 역할을 맡은 구성원 간 서로의 업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결정적으로 중요성을 체감한 부분은 바로 이다. 일단 서로 어떤 일을 하는지, 그 일을 하려면 대강 리소스가 얼마나 들 것 같은지, 그 일이 그 사람에게 핵심 업무인지 아닌지를 알고 있다보니 협업을 요청할 때 편리하다. 요청사항을 좀 더 현실적으로 작성할 수 있고, 서로의 고생(?)이 한 눈에 보이다보니 더 배려하는 소통 방식을 취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받은 듯 하다. 나는 아무래도 개발자와 협업하는 일이 잦으니까, 평소 애매하게&감으로만 알고 있었던 협업에 필요한 개발 용어/개념을 정리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시작합니다 ! . (용어의 목록은 도서 를 참고해 추..
01. 프리셋에 대한 의심 읽은 글 : https://medium.com/delightroom/30%EB%B6%84-%EC%9E%91%EC%97%85%EC%9C%BC%EB%A1%9C-30-%EB%A7%A4%EC%B6%9C%EC%9D%84-%EC%98%AC%EB%A6%B0-%ED%94%84%EB%A6%AC%EC%85%8B-%EC%8B%A4%ED%97%98-f455ed881caa 30분 작업으로 30% 매출을 올린 프리셋 실험 어두운 등잔 밑에 자리하고 있는 프리셋의 임팩트 medium.com (서론에서 "출시 이후에는 해당 프리셋에 너무 익숙해진 나머지, 마치 고정된 기획마냥 늘 그곳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라는 문장을 읽고 이 글을 계속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찔렸기 때문이다._ 첫번째 글을 읽다가..
01. 슬롯머신에 배팅하는 것과 같은 추천 알고리즘 읽은 글 1 : https://medium.com/@jeongmin-ju/spotify%EC%9D%98-%EC%9D%8C%EC%95%85-%EC%B6%94%EC%B2%9C%EC%9D%B4-%EB%A7%A4%EB%A0%A5%EC%A0%81%EC%9D%B8-%EC%9D%B4%EC%9C%A0-865b69d8323a Spotify의 음악 추천이 매력적인 이유 Intro medium.com 읽은 글 2 : https://julie-tech.tistory.com/37 Bandit 알고리즘과 추천시스템 요즈음 상품 추천 알고리즘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하면서, 리서칭하다 보면 MAB 접근법 등 Bandit 이라는 개념이 많이 등장한다. 이번 글에서는 Bandit 알고리..
01. 사용자를 위한 문장에는 분명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 읽은 글 : https://toss.tech/article/how-to-write-error-message 좋은 에러 메시지를 만드는 6가지 원칙 좋은 에러 메시지란, 사용자가 다음 단계로 갈 수 있게 돕는 메시지예요. 사용자가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해 필요한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토스는 6가지 에러 메시지 원칙을 생각하며 문구 toss.tech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느꼈다. 화면 설계나 기능 흐름은 워낙 레퍼런스도 많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머릿 속에 그려지는 게 뚜렷해서 예상 밖의 어려움 없이 쭉쭉 진행되는 편인데, 버튼이나 팝업의 문구를 작성하는 일이 정말 정말 어렵다는 것을. 가장 직접적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이다보니 '이..
UI 컴포넌트의 큰 그림을 그리고 가는 파트! 사이드 프로젝트 회의 중 프론트엔드 개발자 팀원과 이야기를 하는데, 서로 어떤 컴포넌트를 가리키는지 알면서도 그 컴포넌트의 이름을 둘 다 기억하지 못해 애먹었던 경험이 있다. ('kebab'이었다는 후문..) 그래서 통용되는 컴포넌트 이름을 한번 정리하면 좋겠다 싶었는데 마침 Material Design 3에 주요 UI 컴포넌트를 사전 식으로 정리해본다. 01. Banner 중요한 메시지 및 그에 관련된 액셩을 표시 02. Button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액션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도움 03. Button App Bar 모바일 화면 하단에 주요 내비게이션 아이콘 또는 액션을 표시 04. Bottom Sheet 화면 하단에 걸리는 콘텐츠로, 보충적인 내용을 담..